본문 바로가기

음악/이론

재즈 화성: 다이아토닉 코드 진행과 2-5-1 코드 진행

반응형

다이아토닉 코드 진행

- 재즈화성을 이해하려면 Diatonic Chord Progression을 알고 있어야한다 [1]

- Tonic: 1도, 메이저, 안정, 대리음6도

- Sub Dominant: 4도, 마이너, 중성, 대리음2도

- Dominant: 5도, dim, 불안정, 대리음7도

다이아토닉 코드 진행 (1-4-5)

재즈 화성

- 4개의 음이 코드를 구성한다.

- Tonic과 Dominant의 관계에 집중 (Dominant를 연주하면 Tonic을 연주하고 싶어지는 관계)

재즈 코드 진행 (2-5-1)

Tonic: 1도, 안정

Subdomiannt는?

Dominant: 5도, 불안정

재즈의 2-5-1 Cadence에 대하여

- C Major7 재즈코드에서 Dominant인 G7의 "시", "파"를 Tritone이라고 한다. (듣기 불편한 상태)

- 즉 Tritone에서 Tonic으로 연주하려는 경향이 있다.

- 노래를 끝내려고 할때 Dominant -> Tonic으로 간다.

- 이러한 노래를 끝내려는 방법을 Cadence (종지법)이라고 한다.

- 재즈에선 클래식과는 다르게 4-5-1보단 2-5-1의 종지법을 많이 쓴다.

클래식의 경우

- 7th 코드를 잘 안쓴다

- 4-5-1 순으로 연주를 많이한다. (Sub Dominant -> Dominant -> Tonic)

결론 및 비교

- 다이아토닉 1 - 4 - 5 

- 재즈 2-5-1 (2,5 & 5,1의 중복음이 많음, 안정적) 

- 클래식 4-5-1 (4,5 & 5,1의 중복음이 적음, 그럼 여긴 불안정적?)

Resources

[1] Diatonic Chord Progression로 코드 찾기 (티스토리 게시물)

[2] 고급 재즈 화성: 다이아토닉 코드 프로그래밍과 2-5-1 진행 및 'Misty' 화성 분석 - 난리블루스

[3] 클래식 화성학 (?)

반응형

'음악 >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각종 Major Scale표  (0) 2023.08.01
7th 코드에 대하여  (0) 2023.07.24
다이아토닉 코드 진행이란?  (0) 2023.07.24
[화성학] Major Scale (feat. 기타)  (0) 2023.07.11
악보 보는 법  (0) 2023.06.2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