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Harmonics

백병동 화성학 제2장 "3화음" [금지] 금지되는 진행 - 완전 음정은 너무 잘 어울려서 안좋은 소리가 나게된다. - 병행 5도 금지 (?) - 병행 8도 금지 (?) - 반진행 8도 (종지만 허용) (?) - Ex: C1+ A2 & G1+ D2 => 같은 방향으로 도약해서 완전 음정으로 도달한다. (?) - 예외: 소프라노가 순차진행할 때는 OK (?) 성부의 연결 - 노래 부르기 힘들기때문에 금지한다. - 증음정 금지 (예: F, G#, 증2도 금지) (?) - 증2도 금지 => F, G# (?) - 증4도 금지 => F, B (?) - 위와같은 선율을 잘 쓰지 않는다. - A minor harmonic scale에 등장하는 F, G# => 증음정이 발생한다. - 증4도가 감5도로가면 허용한다. (반진행 해결이 필요하다) (?) - 그외 금.. 더보기
백병동 화성학 제2장 - "3화음" 어휘 - Part = 성부 (예: 소프라노, 알토, 테너, 베이스) - 상3성 = 소프라노, 악토, 테너 (한 옥타브이상 벌어지지 말 것) - 하3성 = 알토 테너 베이스 (한 옥타브 이상 벌어져도 될 것) 4성체 구성 - SATB (Soprano, Alto, Tenor, Bass) - 4개의 성부 (소프라노,알토, 테너, 베이스)로 화성화를 시킨다. - 사람의 목소리의 한계를 염두해두어야한다. - 내성 = 알토 테너 - 외성 = 소프라노 베이스 - 상3성 = 소프라노 알토 테너 - 하3성 = 알토 테너 베이스 - 규칙의 예: 병행은 내성과 외성과 상관없이 5음 병진행을 금한다. (?) 화음의 중복과 생략 - 성부를 4개로 풀이를 해야하므로 하나의 음을 중복할 필요가 있다. - 근음을 중복하는게 가장 좋.. 더보기
백병동 화성학 제2장: "3화음" 화성음악의 발달 - Polyphony (다성) -> Homophony (단성 or 화성) 변해가는 과정동안 화성 어휘들을 모아놓았다 화음의 성립 - 높이가 다른 2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릴 때 = 화음 (Chord)라고 한다. - 일정한 법칙에 따라 연결된 화음을 화성(harmony)라고 한다. - pitch = 하나의 음 - interval = 2개 이상의 음 - chord = 3개 이상의 음 - harmony = 2개 이상의 음의 어울림 배음현상 (overtone) - 저음을 연주했을 때 우리가 듣지못하는 다른 음들이 발생한다. - 첫번째 가장 낮은 지점을 Fundamental note라고도 함 - 그 다음부터의 음들은 harmonic or partial이라고 한다. - 배음현상에 의해 3화음 (1.. 더보기
클래식 화성학 리뷰 화성학 어휘 dominant = 속 secondary = 부 dominant function 초급 화성학 - triad (3화음) = 3도 간격으로 이루어져있는 3개의 음 - primary (주3화음) = 1, 4, 5 - secondary (부3화음) = 2, 3, 6, 7 - Inversion (전위) = root(1), 1st(3), 2nd(5) - Dominant motion = 5-1 (끝나는 느낌) - Dominant 7th = 속7화음, 7음을 추가 함으로써 Tendency Tone (긴장감을 조성한다) - diminished 7th = 감7화음 (?) - half-diminished 7th = 반감7화음 (?) - non-dominant 7th = 부7화 (1,2,3,4,6,7) - dom.. 더보기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