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음악/이론

백병동 화성학 제2장 - "3화음"

반응형

어휘

- Part = 성부 (예: 소프라노, 알토, 테너, 베이스)

- 상3성 = 소프라노, 악토, 테너 (한 옥타브이상 벌어지지 말 것)

- 하3성 = 알토 테너 베이스 (한 옥타브 이상 벌어져도 될 것)

4성체 구성

- SATB (Soprano, Alto, Tenor, Bass)

- 4개의 성부 (소프라노,알토, 테너, 베이스)로 화성화를 시킨다.

- 사람의 목소리의 한계를 염두해두어야한다.

- 내성 = 알토 테너

- 외성 = 소프라노 베이스

- 상3성 = 소프라노 알토 테너

- 하3성 = 알토 테너 베이스

- 규칙의 예: 병행은 내성과 외성과 상관없이 5음 병진행을 금한다. (?)

화음의 중복과 생략 

- 성부를 4개로 풀이를 해야하므로 하나의 음을 중복할 필요가 있다.

- 근음을 중복하는게 가장 좋다. (Good) 

- 5음 중복도 가능은 하다. (Possible)

- 3음 중복은 나쁘다 (Bad) => 3음은 성격음이기 때문에 성격이 강해져셔 좋은 사운드가 나지 않는다. (주3화음일때만)

- 성부의 연결을 위해 한음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. (5음만 생략 가능, 1 > 3>  5 순서로 중요하기때문에)

밀집위치 (close)와 개리위치 (open) 

- 상3성이 어느정도의 음역대에 있는가를 나타낸다.

- close position = 밀집위치 => 상3성이 한 옥타브 내에 있을 때

Close Position

- open position => 개리위치 => 상3성이 한 옥타브 이상 벌어져있을 때

Open Position

- 상3성 옥타브 규칙: close건 open이건, 각 성부 옥타브 이내의 음정을 가져야한다.

- 하3성 옥타브 규칙: 배음현상으로 인해 성부가 한 옥타브 이상 벌어져도 된다. (저음역대에선 넓은 음정 관계를 갖는게 울림이 좋다 => ex: 테너와 베이스의 음역대가 넓을 수록 좋음)

 

화음의 진행

- 4가지 화음의 진행이 존재한다

병진행 (Parallel)

- 같은 방향으로 같은 음정이 움직였을 때. (ex: 솔-시, 도-미)

- 3도와 6도만 병진행으로 쓸 수 있다 (?)

반진행 (Contrary)

- 다른 방향으로 같거나 다른 음정으로 움직였을 때 (솔-시, 미-레)

- 성부들을 음악적으로 구분을 주려면 최대한 다른 방향으로 진행을 시키는 것이 독립성을 위해 좋다

사진행 (Oblique)

- 하나가 머물러있고 움직이는 것 (솔-솔, 도-시)

- 가까운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장 좋다 (Ex: C-G-A같은 근접진행하는 법)

유사진행 (Similar)

-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다른 음정일 때 (시-도, 미-라)

 

Conclusion

- 3화음 (triad) => 반드시 한가지 음을 중복해야한다. (5음만 생략 가능)

- Open, Close position을 적절히 섞어서 써라.

- 알토와  테너 사이는 한옥타브 이내로 써라.

- 베이스와 테너 사이는 한옥타브 이상 벌어져도 된다.

- 4가지 화음의 진행은 각각의 개성이 있다.

- 잘 모르면 반진행, 사진행, 유사진행, 병진행 순으로 써라.

Reference

- [클래식 화성학] 기초편 | 백병동 화성학 제2장 3화음 - 1.화음과 화성 (6-9)

- 클래식 화성학 - 대강 음악시간 (풀리스트)

반응형